라우팅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최적의 경로를 통해 목적지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규칙과 절차를 의미해요.오늘은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1. 라우팅 프로토콜의 개념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정의해요. 이를 통해 네트워크는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하고, 장애가 발생했을 때 대체 경로를 찾아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요.라우팅 프로토콜은 크게 Distance Vector 방식, Link State 방식, Hybrid 방식으로 나눌 수 있어요. 2. Distance Vector 방식Distance Vector 방식은 각 라우터가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이웃 라우터에게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에요. 이 방식의..
리눅스 코어덤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닉스 계열의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프로그램이 종료될 당시의 메모리 상태를 기록으로 남기면서 죽게 되는데, 이를 코어덤프라고 부릅니다. 코어덤프는 디버깅을 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오늘은 코어덤프의 개념부터 역사, 발생 이유, 활용 방법, 분석 방법, 관련 도구,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리눅스 코어덤프란?코어덤프는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때, 그 시점의 메모리 상태를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이 파일은 프로그램의 상태를 기록한 것으로, 디버깅 시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코어덤프 파일은 일반적으로 core라는 이름으로 생성되며, 프로그램의 실행 경로에 저장됩니다. coredump가 왜 존재하고 이거를 분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