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인증 모드 사용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적절한 Windows 인증 모드를 적용하여 적합한 복잡성 수준을 유지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혼합 인증모드를 사용하고 sa 계정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잘 알려진 sa 계정에 대한 계정 추측 공격의 우려 존재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Windows 인증 모드를 사용하고 sa계정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sa계정 사용 시 강력한 암호정책을 설정한 경우 - 취약 : 혼합 인증 모드를 사용하고, 활성화 된 sa 계정에 대해 강력한 암호정책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 ■ 조치 방법 - Windows 인증 모드 사용 ■ 점검 및 조치 사례 Windows 만 인증 활성화 Step ..
시작프로그램 목록 분석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을 삭제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악의적인 공격을 차단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윈도우 부팅 시 너무 많은 시작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면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공격자가 심어놓은 악성 프로그램이나 해킹 툴이 실행되어 시스템에 피해를 줄 수 있음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시작프로그램 목록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불필요한 서비스 체크 해제를 한 경우 - 취약 : 시작프로그램 목록을 정기적으로 검사하지 않고, 부팅 시 불필요한 서비 스도 실행되고 있는 경우 ■ 조치 방법 - 시작프로그램 목록의 정기적인 검사 실시 및 불필요한 서비스 비활성화 ■ 점검 및 조치 사례 Windows 2000, 20..
컴퓨터 계정 암호 최대 사용 기간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컴퓨터 계정 암호 최대 사용 기간을 설정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기본적으로 도메인 구성원은 도메인 암호 변경 주기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공격자가 무단 공격을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계정 암호를 추측하기 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음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컴퓨터 계정 암호 변경 사용 안 함" 정책을 사용하지 않으며, "컴퓨터 계정 암호 최대 사용 기간" 정책이 "90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 취약 : "컴퓨터 계정 암호 변경 사용 안 함" 정책이 “사용”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컴퓨터 계정 암호 최대 사용 기간" 정책이 “90일” 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 조치 방법 "컴퓨터 계..
파일 및 디렉토리 보호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FAT 파일 시스템에 비해 보다 강화된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함 (파일과 디렉토리에 소유권과 사용 권한 설정이 가능하고 ACL(접근 통제 목록)을 제공) ■ 보안 위협 - FAT 파일 시스템 사용 시 사용자별 접근 통제를 적용할 수 없어 중요 정보 에 대한 책임 추적성 확보가 어려움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 취약 : FAT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 조치 방법 - FAT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 가급적 NTFS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 ■ 점검 및 조치 사례 Windows 2003, 2008, 2012, 2016, 2019 Step 1) 명령..
보안 채널 데이터 디지털 암호화 또는 서명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해당 정책을 활성화하여 보안 채널의 서명 또는 암호화가 협상되지 않는 한 보안 채널을 확립하지 않기 위함 ■ 보안 위협 - 보안 채널이 암호화되지 않은 경우 인증 트래픽 끼어들기 공격, 반복 공격 및 기타 유형의 네트워크 공격 등의 위험 존재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보안 채널이 암호화 되지 않은 경우 인증 트래픽 끼어들기 공격, 반복 공격 및 기타 유형의 네트워크 공격 등의 위험 존재 - 취약 : 아래 3가지 정책이 "사용 안 함"으로 되어 있는 경우 • 도메인 구성원: 보안 채널 데이터를 디지털 암호화 또는 서명(항상) • 도메인 구성원: 보안 채널 데이터를 디지털 암호화(가능한 경 ■ 조..
LAN Manager 인증 수준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Lan Manager 인증 수준 설정을 통해 네트워크 로그온에 사용할 Challenge/ Response 인증 프로토콜을 결정하며, 안전한 인증 절차를 적용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안전하지 않은 LAN Manager 인증 수준을 사용하는 경우 인증 트래픽을 가로채기를 통해 악의적인 계정 정보 노출을 허용할 수 있음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LAN Manager 인증 수준" 정책에 "NTLMv2 응답만 보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 취약 : "LAN Manager 인증 수준" 정책에 "LM" 및 "NTLM"인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 조치 방법 - Windows 2000 : LAN Manager ..
사용자별 홈 디렉토리 권한 설정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사용자 홈 디렉토리에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여 비인가 사용자에 의한 불필 요한 정보 노출을 방지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사용자 계정별 홈 디렉토리의 권한이 제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임의의 사용 자나 다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악의적인 목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접 근 후 의도 또는, 의도하지 않은 행위로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홈 디렉토리에 Everyone 권한이 없는 경우 (All Users, Default User 디렉 토리 제외) - 취약 : 홈 디렉토리에 Everyone 권한이 있는 경우 ■ 조치 방법 - Everyone 권한 제거 ■ 점검 및 조치 사례 W..
경고 메시지 설정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하 ■ 점검 목적 - 로그온 시 경고 메시지를 설정하여 시스템에 로그온을 시도하는 사용자들에 게 관리자는 시스템의 불법적인 사용에 대하여 경고 창을 띄움으로써 경각 심을 주기 위함 ■ 보안 위협 - 로그온 경고 메시지가 없는 경우 악의적인 사용자에게 관리자가 적절한 보 안수준으로 시스템을 보호하고 있으며, 공격자의 활동을 주시하고 있다는 생 각을 상기 시킬 수 없어 간접적인 공격 기회를 제공할 우려 있음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로그인 경고 메시지 제목 및 내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 취약 : 로그인 경고 메시지 제목 및 내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 조치 방법 - 로그인 메시지 제목 및 메시지 내용에 경고 문구 삽입 ■ 점검 및 ..
세션 연결을 중단하기 전에 필요한 유휴시간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세션이 중단되기 전에 SMB(서버 메시지 블록) 세션에서 보내야 하는 연속 유휴 시간을 결정하여 서비스 거부 공격 등에 악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SMB 세션에서는 서버 리소스를 사용하며, null(공백) 세션수가 많으면 서버 속도가 느려지거나 서버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공격자는 이를 악 용하여 SMB 세션을 반복 설정하여 서버의 SMB 서비스가 느려지거나 응답하지 않게 하여 서비스 거부 공격을 실행할 수 있음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로그온 시간이 만료되면 클라이언트 연결 끊기” 정책을 “사용”으로, “세션 연결을 중단하기 전에 필요한 유휴 시간” 정책을 “15분..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없게 함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일반 사용자를 통한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를 차단하여 의도하지 않은 시스 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서버에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경우 악의적인 사용자가 고의적으로 잘 못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컴퓨터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프린터 드 라이버로 위장한 악성 코드를 설치할 수 있음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없게 함” 정책 - 취약 :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없게 함” 정책이 “사용 안 함”인 경우 ■ 조치 방법 -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없게 함 → 사용 ■ 점검 및 조치 사례 Windows NT, ..
DoS 공격 방어 레지스트리 설정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TCP/IP 스택(Stack)을 강화하는 레지스트리 값 변경을 통하여 DoS 공격을 방어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DoS 방어 레지스트리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DoS 공격에 의한 시스템 다운으로 서비스 제공이 중단될 수 있음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DoS 방어 레지스트리 값이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 취약 : DoS 방어 레지스트리 값이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 SynAttackProtect = REG_DWORD 0(False) -> 1 이상 • EnableDeadGWDetect = REG_DWORD 1(True) -> 0 • KeepAliveTime = REG_DWOR..
원격에서 이벤트 로그 파일 접근 차단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중 ■ 점검 목적 - 원격에서 로그 파일을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여 로그 파일의 훼손 및 변조를 차단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원격 익명 사용자의 시스템 로그 파일에 접근이 가능한 경우 ‘중요 시스템 로그’ 파일 및 ‘애플리케이션 로그’ 등 중요 보안 감사 정보의 변조·삭제·유출의 위험이 존재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로그 디렉토리의 접근권한에 Everyone 권한이 없는 경우 - 취약 : 로그 디렉토리의 접근권한에 Everyone 권한이 있는 경우 ■ 조치 방법 - 로그 디렉토리의 접근권한에 Everyone 제거 ■ 점검 및 조치 사례 Windows NT, 2000, 2003, 2008, 2012 Step 1) 탐색기..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