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ID, ESSID, BSSID: Wi-Fi 네트워크 이름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Wi-Fi를 설정하거나 네트워크를 분석하다 보면 SSID, ESSID, BSSID라는 용어를 자주 만나게 되죠. 비슷해 보이지만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이 녀석들을 네트워크 관리자나 엔지니어 관점에서 깔끔하게 정리해보려고 해요. 차이점과 실무에서 유용한 정보도 함께 담았으니,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을 거예요. 자, 시작합시다!

 

SSID가 뭔가요?

SSID(Service Set Identifier)는 Wi-Fi 네트워크의 이름이에요. 쉽게 말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에서 Wi-Fi 목록에 뜨는 그 이름(예: “MyHomeWiFi”)이 SSID예요.

 

특징

  • 비이나: SSID는 “카페 이름” 같은 거예요. “스타벅스 WiFi”라고 적힌 간판을 보고 “아, 여기서 인터넷 되네!” 하고 접속하는 느낌.

 

ESSID가 뭔가요?

ESSID(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는 SSID의 확장판이에요. 여러 개의 액세스 포인트(AP)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여 있을 때 쓰이는 개념이에요.

 

특징

  • 비유: ESSID는 “프랜차이즈 체인점 이름” 같아요. “스타벅스”라는 이름은 같아도 강남점, 홍대점이 따로 있는 것처럼, ESSID는 여러 AP를 하나로 묶는 느낌.

 

BSSID가 뭔가요?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는 각 Wi-Fi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식별자예요. 보통 AP의 MAC 주소(48비트, 예: 00:14:22:01:23:45)로 표현돼요.

 

특징

  • 비유: BSSID는 “카페 점원의 사원 번호” 같아요. “스타벅스”라는 SSID 아래에서 각 점원(AP)이 고유 번호(BSSID)를 갖고 있는 셈.

 

SSID vs ESSID vs BSSID: 차이점 정리

항목 SSID ESSID BSSID
정의 네트워크 이름 확장된 네트워크 이름 AP의 고유 식별자
범위 단일 또는 다중 AP 여러 AP로 구성된 네트워크 단일 AP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이름 (예: “MyWiFi”) SSID와 동일하지만 개념적 확장 MAC 주소 (예: 00:14:22:01:23:45)
용도 사용자 접속 식별 대규모 네트워크 관리 특정 AP 구분
  • SSID: 사용자가 Wi-Fi를 고를 때 보이는 이름.
  • ESSID: 여러 AP가 협력할 때의 논리적 네트워크 이름(실제로는 SSID와 값이 같음).
  • BSSID: 네트워크 뒤에 숨은 “진짜 주인” 식별.

 

실무에서 유용한 정보

  1. SSID 숨기기 (Broadcast 끄기)
  2. ESSID와 로밍
  3. BSSID 활용
  4. 혼잡 문제

 

실전 팁

  • 명령어로 확인:
  • 중복 SSID: 같은 이름의 네트워크가 많을 때 BSSID로 구분해서 접속(특히 공공 Wi-Fi).
  • 보안: SSID에 “guest”나 “free” 같은 단어 피하기(해커 타겟 되기 쉬움).

 

SSID, ESSID, BSSID는 Wi-Fi 네트워크의 “이름표”와 “주민번호” 같은 존재예요. SSID는 사용자에게 친근한 얼굴이고, ESSID는 대규모 네트워크의 뼈대, BSSID는 뒤에서 묵묵히 일하는 고유 ID죠. 네트워크 설정이나 분석할 때 이 차이를 알면 훨씬 수월해질 거예요.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다음엔 더 흥미로운 네트워크 주제로 돌아올게요! 😊

즐거운 Wi-Fi 관리 되세요!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