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계정관리] Session Timeout 설정 (U-54)
- 취약점 점검/리눅스
- 2021. 9. 10.
Session Timeout 설정
취약점 개요
■ 위험도
- 하
■ 점검 목적
- 사용자의 고의 또는 실수로 시스템에 계정이 접속된 상태로 방치됨을 차단 하기 위함
■ 보안 위협
- Session timeout 값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유휴 시간 내 비인가자의 시스템 접근으로 인해 불필요한 내부 정보의 노출 위험이 존재함
점검 및 조치 방법
■ 판단 기준
- 양호 : Session Timeout이 600초(10분)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 취약 : Session Timeout이 600초(10분) 이하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 조치 방법
- 600초(10분) 동안 입력이 없을 경우 접속된 Session을 끊도록 설정
■ 점검 및 조치 사례
■ SOLARIS, LINUX, AIX, HP-UX
- sh(born shell), ksh(korn shell), bash(born again shell)을 사용하는 경우 -
Step 1)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etc/profile(.profile)” 파일 열기
Step 2) 아래와 같이 수정 또는, 추가
TMOUT=600 (단위: 초)
export TMOUT
- csh 을 사용하는 경우 -
Step 1)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etc/csh.login” 또는, “/etc/csh.cshrc” 파일 열기
Step 2) 아래와 같이 수정 또는, 추가
set autologout=10 (단위: 분)
■ 스크립트
echo"U-54 START"
echo"[U-54 Session Timeout 설정]" >> $COMPUTERNAME2>&1
echo"[Profile Timeout 확인(초단위)]" >> $COMPUTERNAME2>&1
cat $PROFILE | egrep -i "TMOUT | timeout | out" >> $COMPUTERNAME2>&1
echo"" >> $COMPUTERNAME2>&1
echo"[CSHTimeout확인(분단위)]" >> $COMPUTERNAME2>&1
cat$CSH_CONF|egrep-i"autologout|tmout" >> $COMPUTERNAME2>&1
echo"" >> $COMPUTERNAME2>&1
echo"U-54 END" >> $COMPUTERNAME2>&1
echo"======================================================================================" >> $COMPUTERNAME2>&1
echo"" >> $COMPUTERNAME2>&1
echo"" >> $COMPUTERNAME2>&1
■ 용어 설명 / 팁
※ session: 프로세스들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메시지 교환을 통해 서로를 인식 한 이후부터 통신을 마칠 때까지의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