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히스토리 history 시간 보는 방법
- IT/리눅스(Linux)
- 2022. 4. 25.
저번 시간에는 리눅스에서 이전 명령어를 보는 히스토리 명령어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IT/리눅스(Linux)] - 리눅스 히스토리(history) 명령어 옵션 및 기능
히스토리 명령어를 사용할 때에는 시간이 따로 나오지 않아 언제 사용한 명령어인지 기억하지 않으면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history 명령어에 시간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히스토리 명령어 시간 표시 방법
# history
history 명령어의 출력은 기본적으로 순번과 명령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시간을 넣을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history에 시간을 표시하는 방식은 로그인시 수행되는 스크립트를 만들어, 명령어를 수행할 때마다 현재시각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부팅 스크립트 편집
먼저 부팅시 실행되는 스크립트에 히스토리 시간 포맷을 넣어줍니다.
# echo export HISTTIMEFORMAT=\"[%F %T] \" > /etc/profile.d/bash_history.sh
환경변수 편집
# sudo vim /etc/profile
export HISTTIMEFORMAT="[%F %T]"
중간에 위의 환경변수 문구를 넣어 어디서든지 실행 되도록 해줍니다.
환경변수 적용
# readonly HISTFILE
# source /etc/profile
source 명령어를 통해서 환경변수를 적용시켜 줍니다.
모든 계정에서 스크립트 사용하도록 변경
# chmod 755 /etc/profile.d/bash_history.sh
모든 계정에 적용되도록 퍼미션을 755로 변경한다.
이제 history 명령어를 입력해 보시면 순번 옆에 시간이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히스토리 관리 하시는게 더욱 편해지고 언제 명령어를 실행했는지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