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는 특정한 쓰임새를 위해서 IANA에서 할당한 TCP 및 UDP 포트 번호의 일부입니다. 일반적으로 포트 번호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0번 ~ 1023번: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1024번 ~ 49151번: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 49152번 ~ 65535번: 동적 포트 (dynamic port) 대부분의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의 경우, 잘 알려진 포트를 열려면 루트 권한이 있어야 한다. 잘 알려진 포트 번호의 예 [20 : FTP(data)] [21 : FTP(제어)] [22 : SSH] [23 : Telnet] [25 : SMTP] [53 : DNS] [80 : 월드 와이드 웹 HTTP]..
IP주소를 서브넷주소를 할당 하였는데 여기에 몇개의 호스트 수가 들어 갈 수 있는지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사이트예요 http://www.subnet-calculator.com/subnet.php?net_class=A Online IP Subnet Calculator IP Subnet Calculator The IP Subnet Mask Calculator enables subnet network calculations using network class, IP address, subnet mask, subnet bits, mask bits, maximum required IP subnets and maximum required hosts per subnet. Results of the subnet calc..
안녕하세요 오늘은 telnet을 통해서 포트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텔넷(TELNET)이란?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telnet ip port 확인 텔넷 클라이언트 활성화 먼저 윈도우에서는 telnet이 기본적으로 off되어 있는 상태라서 기능을 켜주셔야 합니다. 유닉스나 리눅스도 동일하게 telnet을 yum install telnet 같은 명령어를 통해서 설치한 다음에 동일하게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1.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or 프로그램 추가/제거] *win+r > appwiz.cpl*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2. [텔넷 클라이언트] 체크 -> [확인] 이제 "텔넷 클라이언트"를 켜주셨으면 명령프롬프..
네트워크를 공부하실 때 노드라는 말을 들어 보셨을겁니다.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배울 때 빠질 수 없는 용어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노드' 라는 말은 IT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만큼 각 분야별로 정의를 확실히 하고 넘어가야 하는 용어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네트워크에서의 노드의 뜻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드 (네트워크) 정의 전기통신망에서 노드(node)는 재분배 지점 또는 통신 종단점이다. 즉, 네트워크의 기본요소인 지역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와 그 안에 속한 장비들을 통틀어 하나의 노드라고 한다. 예를 들면 로컬 영역 네트워크 A에 컴퓨터 20대와 허브 2개 공유기 2개, 그리고 라우터가 있다. 이들 네트워크A에 속한 장비들을 하나의 노드라고 한다. 물리적인 네..
OSI 7 Layer 목적 : “OSI 참조 모델의 목적은 업체 및 개발자가 만드는 디지털 통신 제품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통신 도구 간의 명확한 비교를 쉽게 하는 것이다” 7계층 - 응용 : 어떤 통신프로그램으로 전달하는가, UI, I/O 부분 6계층 - 표현 : 보통 이 계층에서 암호화,복호화, 결과 표현 JPG GIF 같은거 5계층 - 세션: 2대의 대화하기위해 세션을 만든다 통신하는 사용자들을 동기화하고 오류복구 명령들을 일괄적으로 다룸 4계층 - 전송 : TCP프로토콜(신뢰성,연결지향적 반면 UDP는 그와 반대)을 이용하여 포트를 열어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게 한다. 시퀀스 넘버 기반의 오류제어 방식 사용, 종단간 통신을 다루는 최하위 계층, 종단간 ..
웹에서 쿠키와 세션이 등장한 배경 1. HTTP의 Stateless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 2. 로그인 후 세션이 자동으로 종료되므로 내 정보를 눌렀을 때 서버에서 식별이 어려움 3. 쿠키라는 기술이 먼저 사용된 후 보안이 고려된 세션이라는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음 4. 쿠키와 세션 모두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 - 쿠키(Cookie) 쿠키는 인터넷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클라이언트(사용자)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임시 데이터 파일입니다. 구성요소 1)이름 : 쿠키값을 구별할 때 사용하는 이름 2) 값 : 쿠키의 이름과 관련된 값(id,pw,level 등) 3) 유효시간 : 쿠키의 유지시간 4) 도메인 : 쿠키를 전송할 도메인 5) 경로 :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 상태코드 모든 HTTP 응답 코드는 5개의 클래스(분류)로 구분된다. 상태 코드의 첫 번째 숫자는 응답의 클래스를 정의한다. 마지막 두 자리는 클래스나 분류 역할을 하지 않는다. 첫자리에 대한 5가지 값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xx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2xx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하였다 3xx (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 4xx (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 5xx (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을 실패했다 1xx (조건부 응답)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한다. 이 상태의 상태 코드는 상태-라인과 선택적 헤더(컴퓨터에서 출력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