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에서 서버 SSL 인증서를 발급하고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openssl 버전 확인 # openssl version 개인키 생성 # openssl genrsa -des3 -out server.key 2048 인증요청서 생성 # openssl req -new -key server.key -out server.csr Country Name (2 letter code) [XX]: 국가코드(kr) State or Province Name (full name) []: 시 이름(Seoul) Locality Name (eg, city) [Default City]: 시/군/구(Ansan) Organization Name (eg, company) [Default Company Ltd]:회사명(..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 프로세스가 파일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추상적인 값, 일반적인 정규파일부터 디렉토리, 소켓, 파이프, 블록, 디바이스, char 디바이스 등 모든 객체를 파일로 관리할 때 사용하는 개념 유닉스 계열에서 프로세스에서 파일을 호출할 때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FD 확인방법 # lsof -p [pid] 명령어를 이용해 프로세스 PID를 입력하여 FD 확인이 가능합니다. # lsof -i 사용하고 있는 모든 소켓 목록 확인 가능 lsof -i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하고 있는 소켓의 목록들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칼리리눅스에서 apt-get install을 했을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올 때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Unable to locate package sources.list에서 Repository를 확인한다 # grep -v '#' /etc/apt/sources.list | sort -u deb http://http.kali.org/kali kali-rolling main contrib non-free 없을 경우 아래의 echo 로 Repo주소를 넣어줍니다. # echo "deb http://http.kali.org/kali kali-rolling main contrib non-free" | sudo tee /etc/apt/sources.list # echo "deb http://ht..
코어파일이란? 코어파일(Core File)이란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시 시스템이 작성하여 메모리 이미지를 저장하ㅡㄴ 것 입니다. 메모리 주소 위반, 잘못된 명령어, 버스 오류 등의 오류를 코어 파일로 덤프합니다. 이런 코어 파일을 분석해서 프로그램이 왜 비정상적으로 종료 되었는지 원인 파악을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리눅스에서는 gdb 명령어를 통해서 코어 덤프 파일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코어파일 분석 gdb 우선 코어 파일을 분석하기 전에 코어 파일을 남기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ulimit -a 명령어를 사용하면 코어 파일 사이즈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을 유지하려면 /etc/secyruty/limits.conf 에 기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file core.번호 명령어를 통해..
리눅스의 커널은 운영체제를 정상적으로 구동함에 있어 최하단에서 동작하며 그 위에 얹어져 있는 서비스들이 안정적으로 돌아갈 수 있게 도와줍니다. 리눅스에서 주기적으로 커널 업데이트를 진행해줘야 새로운 기술과 장치의 활용과 이전 버전에서의 취약점 보완으로 시스템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내가 운영하고 있는 리눅스 서버의 커널 버전을 확인해 보도록 할게요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 방법 uname # uname -r 3.10.0-1160.62.1.el7.x86_64 리눅스 커널 버전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뒤에 el7은 CentOS 7을 나타냅니다. hostnamectl hostnamectl 명령어는 내 서버의 다양한 정보들을 보여주게 됩니다. 이 명령어로 내 OS의 버전, 호스트네임..
윈도우에서는 메모장이나 notepad 등에서 문자열 바꾸기 기능이 있습니다. 이와 동일하게 리눅스에서도 문자열을 치환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요, 오늘은 리눅스 centos에서 특정 문자열을 모두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d 명령어는 스트리밍 편집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xargs는 문자열을 입력 받고 인수를 전달해 줄 수 있습니다. 옵션 없이 사용한다면 기본 echo로 동작합니다. 폴더내 모든 문서의 특정 문자열 치환 $ find ./ -type f |xargs sed -i 's/바꿀문자열/새로운문자열/g' 만약 특정 폴더에 파일이 많고 파일의 내용중 you 를 me 로 바꾼다면 아래와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 find ./ -type f |xargs sed -i 's/you/m..
리눅스에는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흡사한 기능을 하는 링크를 만드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inode 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inode는 데이터의 고유 식별 번호입니다. 하드 링크 원본과 동일한 inode 원본이 삭제되더라도 링크는 여전히 사용 가능 심볼릭 링크 원본과 다른 inode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링크입니다. 원본 파일이 삭제되면 사용이 불가합니다. 주로 Dynamic Library의 so 파일과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사용방법 ln [원본파일] [링크파일] -s 옵션 여부에 따라 하드링크 심볼릭링크가 나눠집니다. -s를 넣어 주시면 심볼릭 링크로 동작합니다. 예시 test inode : 80220368362932813 ls에 -i 옵션을 주면 파일의 i-node를 확인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