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파일명, 디렉토리명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v move의 약자,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이름(파일명, 디렉토리명)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파일을 보시면 test파일을 만들어놓았습니다 이 파일명을 변경시킬건데요 $mv test test1 이렇게 해주시면 파일명이 test에서 test1로 변경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로 궁금하신 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사용하시다 보면 vi, vim 편집 할일이 많은데요 파일 내용이 많다 보면 수정할 곳을 찾기가 힘들어 질 때가 있는데요. 파일안에서 문자열을 검색해서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 / or ? 으로 문자열 탐색 현재 커서 위치에서 아래방향으로 문자열 검색 esc 버튼으로 커서로 바꿔주시고 "/" 를 누르고 원하시는 문자열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현재 커서 위치에서 윗방향으로 문자역 검색(역방향 탐색) esc 버튼으로 커서로 바꿔주시고 "?" 를 누르고 원하시는 문자열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 문자열를 검색(계속 탐색)을 하려면 소문자 "n" 을 누르면 되고 이전 문자열를 검색(계속 탐색 - 역방향)을 하려면 대문자 "N"을 누르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버이전을 하거나 여러 작업을 하실 때 서버의 시리얼 넘버를 확인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의 시리얼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ㅎㅎ dmidecode 가 설치 되어있지 않으시다면 #yum install dmidecode 위 명령어로 먼저 dmidecode를 설치하고 시작해주세요!😫 #dmidecode | grep Serial Number | head -1 #dmidecode -s system-serial-number #dmidecode -s system-serial-number | tail -1 위 명령어로 한줄만 뽑아 보실수도 있어요 감사합니다🥱 윈도우 시리얼넘버 확인하는 방법 coconuts.tistory.com/135 윈도우 시리얼 번호 확인하는 방법(서버..
개요 ㅇ 호스트에 장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신 상태를 보여줌 - 연결 상태 (ESTABLISHED, LISTENING, TIME_WAIT, SYN_SENT) ☞ TCP 상태, TCP 연결설정 참조 - 프로토콜 (TCP, UDP 등) - 연결에 사용된 IP 주소, 포트번호 (로컬 및 상대방) - 통계 등 네트워크의 문제를 찾아내고 성능 측정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유닉스 계열, 리눅스, 윈도우, 맥os 에서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한 명령어이므로 알아두면 좋습니다 사용 방법 netstat [옵션] [| grep 포트 번호 or 서비스 명] Options -l (listen) : 연결 가능한 상태 -n (number port) : 포트 넘버 -t (tcp) : tcp -..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용량, 파티션, RAID 구성 등을 알 수 있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디스크 공간 통계 표시 -h 옵션은 보기 좋게 용량을 정리해서 보여줍니다 #df -h DISK 정보 확인 # cat /proc/scsi/scs -- scsi 하드디스크 용량 정보 #fdisk -l sda, sdb 이렇게 있으면 두개로 유추할수있고 위의 이미지에는 sda 만 보이므로 20기가 하나만 들어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용량 정보 Disk 만 뽑아 보기 # fdisk -l | grep Disk fdisk -l 로 파티션 나눠진 것을 확인하고 grep Disk 로 디스크 부분만 뽑아봅니다 하드디스크 정보 #cat /proc/ide/hda/model #cat /proc..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cpu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RAM, 메모리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 개요 메모리의 정보와 슬롯 정보 확인 전체 메모리 정보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메모리 사용 현황(total: 전체, used: 사용중, free: 여유) $free 전체 메모리 슬롯 정보(뱅크) #dmidecode -t 17 | egrep 'Memory|Device' | wc -l 이번 dmidecode 명령어 부터는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해서 진행해 주세요 😸 dmidecode는 컴퓨터의 DMI(Desktop Management Interface)를 사람이 읽을 수 있게 dumping 하는 명령어예요 시스템 정보를 자세하..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에서 cpu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보통 VM 가상머신에 올려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cpu의 하드웨어는 어떤 것이 들어 갔는지는 알 수 있지만 코어나 물리적 논리적 개수는 가상머신을 올릴 때 설정해둔 값이 표시돼요 개요 CPU core 수를 셀 수 있다. 전체 CPU 정보 확인 $ cat /proc/cpuinfo 논리 코어 수 확인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물리 CPU 개수 확인 $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아래의 명령어도 위와 같이 물리 CPU 개수를 나타내줘요 grep ^processor /proc/cpuinfo | wc -l CPU당 ..
리눅스 CentOS, Ubuntu 등 운영체제를 사용하면서 접하게 될 시스템 디렉토리들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개념 정리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트리(Tree) 구조를 하고 있으며 명령어의 성격과 내용 및 사용 권한 등에 따라 디렉토리로 구분되고 있어요.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는 기본적인 구조를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지만 특수한 경우라 보통은 아래에 설명한 디렉토리 구조를 사용하고 있을 거예요. 위치 이름 설명 위치 이름 설명 / 루트 - 최상위(루트) 디렉토리 - 디렉토리들의 절대 경로를 표기할 때 이 디렉토리로 부터 시작함 /bin 바이너리 - 이진파일(실행파일) -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mv..
네트워크상에서 인터넷과 내 PC 사이에 어떤 것들이 존재하는지 아시나요? 오늘은 내 PC가 어떤 IP들을 거쳐서 외부의 인터넷과 연결되는지 알게 해주는 Traceroute 명령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에서는 tracert라는 명령어가 있는데 이것과 동일합니다 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로[1]를 수집하는 리눅스 명령어 목적지 까지 네트웍 연결이 어떤 경로로 도달하는지 추적하는 명령어. 이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었을 때 어디에서 막혔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경로 : /bin/traceroute 실습 처음에는 traceroute 명령어를 쳐보시면 "command not found" 라는 문장이 보이실 수 있습니다 이경우는 traceroute를 설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rpm -qa..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사용하시다보면 자주 쓰는 명령어들이 있는데요 만약 그 명령어가 길이가 길다면 매번 그런 명령어를 일일이 다 치는데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그러한 시간들을 줄이기 위해서 명령어를 단축키로 지정하는, alias라는 별칭 명령어로 별칭을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 별칭 확인 alias 라는 명령어를 입력해보시면 alias로 지정했던 명령어들이 나옵니다 별칭 등록 별칭을 등록할 때는 "alias [명령어]=[별칭]" 으로 위 그림과 같이 등록을 해주시면 됩니다 등록한 별칭 확인 다시 alias 명령어로 등록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저는 현재 보이는 명령어 줄들을 지워주는 clear 명령어를 c 로 만들어서 c를 입력해 clear 명령어를..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의 호스트 명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호스트명이란 네트워크 상에서 어떤 컴퓨터를 유일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름을 말합니다 리눅스 os는 CentOS 6.7 을 사용하였고 현재 root 계정에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hostname 확인 방법 호스트 네임은 "hostname" 이라는 리눅스 명령어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root@100 ~]# hostname 100 호스트 네임을 확인해 보시면 지금의 호스트 네임을 보실 수 있습니다 * hostname 변경 방법 호스트네임을 변경하려면 hostname 다음에 변경할 호스트 네임을 입력해 줍니다 알아둬야 할 것은 이 방법으로 호스트네임을 변경할 경우 리눅스를 재부팅 할 경우 호스트 네임이 원래의 호스트 ..
디스크 용량 확인 명령어 df와 du의 차이 한 줄 정리 df ( Disk Free ) 현재 마운트 된 디스크의 크기, 사용량, 남아있는 용량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du ( Disk Usage ) 파일이나 디렉터리들이 디스트에서 차지하고 있는 크기를 출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