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key-gen 이용하여 패스워드 없이 접속 방법 SSH Key는 비밀번호보다 더 높은 보안을 요구할때, 그리고 로그인 없이 자동으로 서버에 접근하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됩니다. SSH Key 방식 사용 순서 1. 접속할 목적지 서버에서 생성 2. 목적지 서버에서 키를 만들어준다. 3. 키를 시작지 서버에 등록 SSH rsa key 생성 #ssh-keygen -t rsa // 키 생성 몇 가지 과정을 거치면 key가 완성됩니다. Enter file in which to save the key (/root/.ssh/id_rsa): - key 파일 저장 위치를 지정 default : ~/.ssh key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Overwrite 할지 물어보는데, 이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사용하던 key를..
리눅스, Centos, ubuntu 등에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확인할 때 ls 명령어를 이용해서 보게 됩니다. 윈도우라면 dir을 이용해서 보게될텐데요 오늘은 ls를 통해 나오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개수를 세는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체 파일 개수 세기 ls -l | wc -l ls를 통해서 나오는 줄 수를 wc를 통해서 세줍니다. 현위치 디렉토리 형식의 개수 세기 ls -l | grep ^d | wc -l ^d 로 하시면 directory 형식으로 된 것들만 개수를 세고, ^l 하시면 링크된 파일을 세게됩니다. ls -l을 해보시면 맨 앞에 나오는 형식을 이용해서 세는 방법입니다. 현위치 파일형식의 개수 세기 ls -l | grep ^- | wc -l 같은 방법으로 파일의 개수를 세..
리눅스에서 자바 버전을 확인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java -version 위 명령어가 안된다면 아래 명령어로 시도해 주세요 # javac -version -bash: javac: command not found 2. rpm -qa | grep jdk # rpm -qa | grep jdk java-1.8.0-openjdk-devel-1.8.0.0-1.28.1.10.10.el5_8 java-1.8.0-openjdk-1.8.0.0-1.28.1.10.10.el5_8 3. yum list installed *jdk-devel # yum list installed *jdk-devel yum list에서 설치되어 있는 jdk를 찾는 방식으로 설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stab을 이용하여 mount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마운트를 하게 되고 재부팅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마운트가 풀리게 되어 있습니다. 이를 영구적으로 마운트를 하기 위해서는 fstab에 등록이 필요합니다. fstab 이용하여 리눅스 자동 마운트 하는 방법 /etc/fstab은 file system table의 약자입니다.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정보 등이 들어있게 됩니다. 먼저 fdisk -l 로 디스크 파티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줍니다. sda를 부팅과 실사용하는 디스크로 두고 있고 아래 sdb1이 추가로 들어가 있습니다. df -h 해보시면 아직 sdb가 마운트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sdb를 먼저 마운트 해줍니다. mount -t /dev/sdb1 마운트 경로 영구 ..
Clear command not found 해결 방법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사용하고 나서 커맨드 창을 비워줄 때 clear 명령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에서는 cls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 clear 명령어는 명령어를 삭제해주는 기능이 아니고 단순히 화면 자체를 위로 올려서 첫 줄부터 시작하도록 보이게 하는 명령어입니다. # clear bash: clear: command not found 만약 명령어를 사용하였는데 command not found 명령어가 나온다면 clear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clear 사용 가능한 ncurses 패키지 설치 확인 # rpm -qa |grep ncurses 위 명령어로 패키지 설치를 먼저 ..
dmidecode 옵션 모음 dmidecode는 DMI(Desktop Management Interface)를 dumping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어 입니다. 쉽게 말해서 하드웨어 정보를 나타내주는 명령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dmidecode 명령어를 사용해서 하드웨어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mmand not found dmidecode가 나온다면 yum -y install dmidecode* 명령어를 사용해서 패키지 설치를 진행해 주세요 dmidecode 를 직접 입력하면 정보가 너무 많기 때문에 가시성이 떨어집니다 그렇기에 보통 옵션을 넣어서 필요한 정보만 뽑아냅니다. 옵션 dmidecode [OPTIONS] -d, --dev-mem FILE Read memory fro..
CentOS7 등 리눅스를 처음 설치하시고 나서 설치하면 좋은 정말 필수라고 생각하는 패키지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리눅스를 다루는 엔지니어 입장에서 사용하면 좋을 패키지들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net-tools - ifconfig, netstat iptables-service - firewall 안쓰고 iptables 사용 권장 tmux - 세션 툴(화면 분할) vim - vi 강화 버전 cronie - crontab telnet - 포트 확인 툴 traceroute - 라우팅 확인 unzip - .zip 파일 제어 wget - 웹 서버에서부터 콘텐츠 획득(http, https, ftp) curl - 커맨드 라인용 데이터 전송 도구(http, ftp) htop - 리소스 확인 iftop - 네트워크..
윈도우, 리눅스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웹요청 명령어 curl 사용법 개요 cURL 명령행 기반 웹 요청 도구. 특히 RES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테스트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url 공식 홈페이지 : http://curl.haxx.se/ curl command line tool and library for transferring data with URLs (since 1998) Time to donate to the curl project? Everything curl is a detailed and totally free book that explains basically everything there is to know about curl, libcurl and the associated p..
리눅스의 패키지 설치 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소스 패키지 설치는 configure, make, make install 3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configure로 설치 전 컴파일 환경의 검사, make로의 코드 컴파일, make install로 최종 설치를 합니다. configure 명령어 소스 파일에 대한 환경설정을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나에게 라이브러리 등의 도구는 다 있는지 체크해 주는 스크립트입니다. 서버환경에 맞춰서 makefile을 생성해 줍니다. ./configure --prefix /usr/local/bin 은 파일을 /usr/local/bin에 설치 하겠다는 뜻입니다. --prefix 옵션은 설치 디렉토리를 바꾸기 위한 옵션입니다. 설치 디..
리눅스 파일 삭제 예외 방법 리눅스에서 파일 삭제를 할 때 지정하며 삭제하는 방법은 다들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몇개를 제외하고 삭제를 하고자 할 경우가 있습니다. 그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몇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find . ! -name 제외파일이름 -delete rm `ls *|grep -v a |grep -v b` grep -v 옵션 뒤에 제외할 파일 지정 위 명령어를 이용해서 삭제할 경우 삭제할 것입니까? 물어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파일이 많을 경우 y를 개수별로 입력해 줘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습니다. 앞에 " yes | " 를 위 이미지 처럼 붙여주게 되면 자동으로 yes로 넘어가게 됩니다. rm `ls 1* |grep -v 12 |grep -v 13` 1* 중에 12랑 1..
개요 • 유닉스&리눅스 계열 운영체제 파일시스템에서 파일에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 • 파일 이름을 제외한 파일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진다. 아이노드(i-node)는 index-node의 줄임말로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 있는 자료구조로 파일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파일들은 각자 1개의 아이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름 처럼 무언가 빠르게 찾기위해 인덱싱 시켜놓은 노드입니다. ls -i 를 해보시면 인덱스 값 아이노드들이 파일 앞에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df -i i-node의 사용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포함 정보 • 파일 유형 • 파일 크기 • 파일 위치 • 접근 권한 • 하드링크 개수 • 소유자 • 소유 그룹 • MAC Time • Block Index MAC time 확인 방..
리눅스에서 yum으로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삭제도 물론 가능한데요 Centos7 기반에서 패키지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패키지 설치확인 yum list installed 패키지이름 패키지 삭제 yum에서 remove 옵션을 이용해서 패키지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yum remove ntp remove도 질문을 받지 않으려면 앞에 -y 옵션을 붙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yum list installed ntp 패키지 확인 명령어를 이용해서 패키지가 삭제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