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ui 코랩(colab) 모델 적용 방법
- Ai 그림
- 2023. 4. 7.
Stable Diffusion webui colab 실행 시 모델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델은 AI 그림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림의 방향성을 정해주기 때문인데요, 기본적으로 제공해 주는 모델은 내가 원하는 그림을 그리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그림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모델을 다운로드 해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코랩 모델 적용법
먼저 모델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모델 파일은 hugging face나 civitai 등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모델 공유 사이트 4가지 추천해 드릴게요
[Ai 그림] - Stable Diffusion AI 실사 모델 공유 사이트 모음 4가지
Stable Diffusion AI 실사 모델 공유 사이트 모음 4가지
Stable Diffusion을 사용하실 때 사전에 훈련된 AI 모델을 사용하시면 원하는 그림을 만들어내는데 더욱 효과적이고 빠릅니다. Stable Diffusion에서는 이런 모델을 토대로 내가 원하는 프롬프트를 입력
coconuts.tistory.com
.safetensors나 .ckpt 파일을 다운로드 해서 준비해 둡니다. 꼭 다운로드가 아니고 다운로드 링크로도 가능하지만 이미 다운로드 해놓은 것과 비교해서 colab 실행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1. 실행하는 과정에 모델 넣는 방법
colab에서 stable diffusion을 실행하는 과정에 Model Download/Load 부분이 있습니다.
만약 모델이 내 드라이브 안에 있담녀 Path_to_MODEL 부분에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렇지 않고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으셔야 한다면, 다운로드 링크를 복사하셔서 MODEL_LINK 부분에 붙여넣어 주시면 됩니다.
이 방법을 가장 추천 드립니다.
2. colab 실행 상태에서 업로드 하기
stable diffusion webui -> models -> Stable-diffusion 폴더를 찾아 주세요
이 위치에 모델이 있어야 합니다.
마우스 우클릭을 하시고 업로드를 클릭해 줍니다.
그리고 내 PC에 있는 모델 파일을 업로드 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 업로드 되고 있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이 방법은 colab 실행할 때 마다 초기화 되기 때문에 추천드리는 방법은 아닙니다.
3. 구글 드라이브의 모델을 colab으로 옮기기
내 구글드라이브에 safetensors 또는 ckpt 모델 checkpoint 파일을 업로드 해줍니다.
그러면 drive 부분에 모델이 나오게 되는데 모델 파일을 colab을 실행하고 나온 모델 폴더에 옮겨 주시면 됩니다. 웬만하면 1번 방법으로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모델이 바로 나오지는 않고 새로고침을 한번 해주셔야 합니다.
webui로 돌아오셔서 checkpoint 부분에 새로고침을 누르면 내가 업로드한 모델이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i 그림] - 아이폰, 아이패드 AI 그림 만드는 앱(Mobile Stable Diffusion Draw Things)
아이폰, 아이패드 AI 그림 만드는 앱(Mobile Stable Diffusion Draw Things)
Stable Diffusion은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만들어 주는 AI 프로그램입니다. 모바일에서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앱이 있어서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AI이미지를 로컬에서 생성해 주
coconuts.tistory.com
[Ai 그림] - Stable Diffusion AI 모델 파일 적용 방법
Stable Diffusion AI 모델 파일 적용 방법
Stable Diffusion에서의 모델은 그림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anything, pastelmix, orangemix, caramel, chilloutmix 등 여러 모델 파일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모델 파일을 받았을 때 Stable Diffusi
coconut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