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3법 정의 데이터 이용을 활성화하는「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약칭 : 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약칭 : 신용정보법)」등 3가지 법률을 통칭한다. 데이터 3법 신용정보법 개정안은 상업 통계 작성, 연구, 공익적 기록 보존 등을 위해 가명 정보를 신용 정보 주체의 동의 없이 이용·제공이 핵심이다 개정 목적 - 빅데이터 분석·이용의 법적 근거 명확화와 빅데이터 활용의 안전장치 강화 - 「개인정보 보호법」과의 유사ㆍ중복 조항을 정비하는 등 데이터 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규제 혁신 - 금융분야 데이터산업으로서 신용정보 관련 산업에 관한 규제체계 선진화 - 새로운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도입 - 정보활용 동의 제도의 개선, 개인신용정보의 ..
이미지를 불러올 떄 포토샵이나 그림판 같은 곳에서 미리 자르고 불러올 수도 있지만급하게 이미지을 자르는 일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요불러온 이미지를 자르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잘라올 이미지를 불러와 줍니다 삽입으로 불러오셔도 되고 드래그&드랍으로 이미지를 불러오셔도 됩니다. 이미지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자르기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자르기 버튼을 누른 후 마우스 커서가 자르기 모양으로 바뀌는데 이미질 모서리 부분을 끌어서 원하는 크기 만큼 모양을 맞춰줍니다 원하는 크기를 맞춰주시면 지정한 크기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지워집니다!크기를 잘못 줄이셨다면 'Ctrl+z' 단축키로 되돌리기 해주시면 됩니다!!
맥북을 처음 사용하게 되면사용자 패스워드 이외에root 비밀번호를 초기화 해주어야 해요그렇지 않으면 shutdown 이나 예약설정 명령어 등 root 권한의 여러 명령어를 사용하게 될 때 패스워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sudo -s' 명령어로 root 계정으로 들어가 줍니다 'whoami' 명령어로 현재 계정 사용자를 확인해 보세요 'passwd root' 로 새로운 패스워드를 지정해주세요이후에 로그인 하실때는 변경한 패스워드로 로그인해주시면 됩니다 맥북 패스워드(password) 변경에 대해서 알아 보았어요 감사합니다 😙
업무에서 엑셀을 활용할 때 은근히 찾아서 마우스로 일일이 하는 것은 시간을 많이 쓰게 되는데요 업무시간을 단축시켜줄 엑셀 단축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겟습니다 셀입력에 관한 단축키 셀입력 단축키 해설 Ctrl + Enter 여러 셀 데이터 입력 Ctrl + D 위의 셀로 자동 채우기 Ctrl + Alt + v 선책하여 붙여넣기 Ctrl + ; 오늘 날짜 입력 Shift + F3 함수 입력 상자 커서나 시트 이동, 선택에 대한 단축키 이동, 선택 단축키 해설 Ctrl + Shift + * 데이터 블록만 선택 Shift + Spacebar 전체 행 선택 Ctrl + Spacebar 전체 열 선택 Ctrl + 방향키 맨 앞, 뒤 이동 Ctrl + PgUp/PgDn 시트이동 사실 다른 단축키를 외우는게 번거롭다..
노트북의 배터리나 전원에 이상이 생겼을 때 자신이 스스로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cmd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줍니다" window키를 누르고 cmd 검색하시고 "ctrl + shift + enter" 하시면 바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이 가능합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에 "powercfg.exe -energy"라고 입력하시고 enter를 눌러줍니다 명령어를 실행하시기전에 "cd c:\windows\system32 " 로 이동해줍니다 실행하고 나면 몇가지 문구가 뜨면서 저 경로에 에너지 리포트 파일 html 파일이 생성됩니다 경로로 이동하여 html 파일을 브라우저로 열어줍니다 전원 효율성 진단 보고서 라는 파일이 열어졌습니다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얻어 가실수 있고 배터리..
1. regedit 실행 2. HKEY_LOCAL_MACHINE(또는 HKEY_LOCAL_USER) 3. SOFTWARE -> Microsoft -> Command Processor DWORD 값으로 PathCompletionChar 와 CompletionChar 의 값을 9로 변경 9는 10진수와 16진수 동일 하니까 어떤 것으로 체크해도 큰 의미는 없습니다! PathCompletion = 디렉토리를 자동완성 Completion = 파일 이름을 자동완성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란? - 링크를 연결하여 원본 파일을 직접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링크이다.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한 개념) 심볼릭 링크는 디스크 상에서 inode number는 원본과 다른 파일이며 그야말로 바로가기 파일일뿐이다. 하드 링크 파일의 inode number는 원본과 같다 따라서 디스크 상에서 근본적으로 같은 파일이라 할 수 있다. ln -s [원본] [링크파일명] 예) ln -s /index.html /test.html 디렉토리도 가능하다 ln -s /etc test 추가 설명 : https://ko.wikipedia.org/wiki/%EC%8B%AC%EB%B3%BC%EB%A6%AD_%EB%A7%81%ED%81%AC
DLL이란? (Dynamic Link Library) 라이브러리 (Library)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자주 쓰고 기초적인 함수들을 중복 개발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표준화된 함수 및 데이터 타입을 만들어서 모아 놓은 것. 즉, 자주 사용되는 표준적인 함수를 매번 직접 작성해서 사용하는 것은 지나치게 시간 소모적이므로 표준화할 수 있는 함수를 미리 만들어서 모아 놓은 것. - 라이브러리를 한 번 구축해 놓기만 하면 다시 만들 필요없이 불러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발 속도도 빨라지고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 이런 라이브러리는 언제 메인 프로그램에 연결하느냐에 따라서 Static Link와 Dynamic Link로 나뉘며, DLL은 이 중 후자를 뜻한다. 스태틱 링크(Static Link Library..
# SSH 포트변경 sshd_config 파일을 열어 포트 변경 후, SSH 서버 재시작 # sshd_config 파일 수정 $ sudo vi /etc/ssh/sshd_config 13번째 라인 주석 제거후 포트번호 변경 Port 22 #AddressFamily any #ListenAddress 0.0.0.0 #ListenAddress :: # ssh 서버 재시작 $ sudo /etc/init.d/ssh restart
웹에서 쿠키와 세션이 등장한 배경 1. HTTP의 Stateless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 2. 로그인 후 세션이 자동으로 종료되므로 내 정보를 눌렀을 때 서버에서 식별이 어려움 3. 쿠키라는 기술이 먼저 사용된 후 보안이 고려된 세션이라는 기술이 주로 사용되고 있음 4. 쿠키와 세션 모두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 - 쿠키(Cookie) 쿠키는 인터넷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클라이언트(사용자)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임시 데이터 파일입니다. 구성요소 1)이름 : 쿠키값을 구별할 때 사용하는 이름 2) 값 : 쿠키의 이름과 관련된 값(id,pw,level 등) 3) 유효시간 : 쿠키의 유지시간 4) 도메인 : 쿠키를 전송할 도메인 5) 경로 :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
IPS, WAF, FW 의 공통사항: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전산시스템을 공격하는 사용자에 대한 탐지 및 차단 1. 침입방지 시스템(IPS: Instruction Protection System) 네트워크 Layer3 ~ Layer7 계층에서 IPS가 가지고 있는 취약점 패턴에 대해서만 탐지 및 차단 웹 방화벽의 일부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HTTP(80)에 대한 패턴이 미비 함 - 필요성: 전반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침해사고 대응 - 보호대상: 모든 서버 2. 웹 어플리케이션 방화벽(WAF: Web Application Firwall, 와프) 네트워크 Layer7(Application Level)계층에서 HTTP(80) 프로토콜을 베이스로하는 취약점 공격만 탐지 및 차단 실무에선 줄여서 WAF 또..
이번 문제는 c언어를 이용해 구구단을 짜보도록 하겠습니다 for문을 이용해서 풀 수 있는 아주 기초적인 문제입니다 for문의 형식을 보시면 for(i=1;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