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tmpfs 임시 파일 시스템의 사용 목적 tmpfs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df 같은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emp File System 의 약자입니다. tmpfs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메모리에 기반한 파일 시스템입니다. tmpfs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tmpfs는 ram을 사용하는 휘발성 파일 시스템으로, 시스템이 재부팅되면 모든 데이터가 손실됩니다. RAM에서 읽기 또는 쓰기 작업을 모두 수행하기 때문에 디스크에 쓰는 데이터 대비하여 I/O 성능이 매우 뛰어납니다. tmpfs의 용도 캐시 : tmpfs는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캐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로그 : tmpfs는 로그 파일을 저장하는..
록키 리눅스를 설치하셨는데 command 모드로 설치가 되어서 GUI 환경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따로 GUI 패키지를 설치해서 그래픽 모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GUI 모드가 윈도우에서 넘어오신 분들은 훨씬 편하기 때문에 리눅스가 어려우시거나 처음이시라면 무조건 추천드리는 설정입니다. 오늘은 Cli에서 Gui 모드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ocky Linux GUI 모드 사용방법 yum 업데이트 yum -y update yum을 업데이트해줍니다. 이 과정들은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해 주셔야 합니다. ping 8.8.8.8으로 구글로 핑이 전송되는지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IT/리눅스(Linux)] - [Linux] yum 실행 안될 때 cannot find a v..
SSH root 직접 접속 제한 SSH 기본 포트 변경 위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SH root 직접 접속 제한 ssh를 통해서 서버에 접근할 때 일반 유저로 로그인하고 root로 다시 접속하는 것이 아닌 root로 직접 접속이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취약점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root 접속 차단은 sshd config에서 쉽게 제한이 가능합니다. /etc/ssh 경로에 있는 sshd_config 파일을 수정해줘야합니다. vi 또는 vim으로 해당 파일을 열어줍니다. [IT/리눅스(Linux)] - 리눅스 vi편집기 단축키와 사용법 / vim 설치 및 사용 / 맥북 vim / v1.0 리눅스 vi편집기 단축키와 사용법 / vim 설치 및 사용 / 맥북 vim / v1.0 안녕..
서버들에는 운영체제로 리눅스들이 많이 탑재되어 나가게 됩니다. 리눅스 시스템을 off 할 때 sync 명령어를 여러 번 입력하고 시스템을 끄는 분들이 계신데 sync 명령어를 왜 사용하는지와 사용할 때 작동하는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에서 sync 명령어는 메모리 버퍼에 있는 데이터를 디스크에 강제로 기록하는 명령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을 종료하거나 재부팅할 때 사용됩니다. 만약 메모리에서 내가 사용하던 프로세스가 동작 중이였는데 이것이 저장되지 못하고 갑작스러운 reboot을 당하게 된다면 그 작업은 강제 중지되며 작업 중인 작업도 물론 날아가게 되는 불상사가 생기게됩니다. sync 명령어는 이런 불상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리눅스 시스템은 메모리와 디스크 관리를 위해 데이..
Rocky Linux에서 IP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network 재시작 하는 방법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리눅스에서 인터넷이 잘되는지 확인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이 ping을 해보는 것입니다. 8.8.8.8은 구글의 DNS로 여기로 ping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Connect : Network is unreachable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됩니다. 록키 리눅스(Rocky Linux)에서 IP 주소 변경 및 Network 서비스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NetworManager.service가 존재해야합니다. 만약 해당 서비스가 없는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서 해결해줍니다. [IT/리눅스(Linux..
CentOS 대신 이제 Rocky Linux를 사용하는 곳들이 많아졌습니다. CentOS8, 9 버전 부터는 이제 무료가 아닌 유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Rocky Linux가 아무리 CentOS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고는 하지만 비슷한 듯 다른 명령어, RPM들이 꽤나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기동 하는 과정입니다. Rocky Linux Network.service not found CentOS나 Ubuntu를 많이 사용하신 분들은 네트워크를 재시작 할 때 service network restart를 많이 사용하셨을 겁니다. 이렇게 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 Failed to restart network.service: Unit network. Serv..
리눅스(Linux) ownCloud 서비스 구축 방법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이버의 MyBOX, 구글드라이브, 원드라이브, Dropbox 등이 있습니다 동기화 방식으로 어디서든 파일 생성/수정/삭제를 하면 어떤 곳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인 ownCloud 를 이용해서 구축해 보겠습니다 APM 서비스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ownCloud RPM 다운로드 http://download.opensuse.org/repositories/isv:/ownCloud:/community:/5.0/Fedora_19/noarch/ 위 링크로 접속해 ownCloud rpm을 다운로드 해줍니다 repo 설정이 정상적으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파일을 디렉토리에 다운받고 그 디렉토리로 이동 후 yum -y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