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호스트네임 변경 방법 CentOS, Ubuntu 등 리눅스에서 호스트네임 hostname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ostnamectl 위 명령어를 통해서 호스트명, Machine ID, Boot ID, 커널 정보, 비트 정보 등을 알 수 있습니다. hostname 명령어를 쳐보셔도 호스트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ostnamectl set-hostname game 호스트네임을 "game"으로 바꾸는 명령어입니다. hostnamectl set-hostname 호스트명 명령어로 호스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호스트명 부분에 '' 를 입력하시면 OS 초기의 호스트네임으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호스트명을 잘못 바꾸셨다면 hostnamectl set-hostname '' 위 명..
리눅스 CentOS7 gui 모드로 변경방법/cli, text 모드로 변경하는 방법/centos 그래픽모드로 변경/terminal 다크모드로 변경하는 방법 CentOS gui 모드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몇가지 패키지 설치가 필요합니다 CentOS 는 terminal 에서 yum 명령어로 패키지 설치가 필요합니다 Ubuntu 라면 apt-get 으로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yum 업데이트 $ sudo yum update yum groups install "GNOME Desktop" yum groups install "Graphical Administration Tools" 그리고 startx 명령어를 이용해서 실행시켜줍니다 이제 리눅스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정확히는 run lev..
리눅스 IP 설정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기본 설정값 리눅스 ip 주소를 설정할 때 /etc/sysconfig/network-scripts/ 에 ifcfg-eth0, ifcfg-ens33 등의 값을 이용해서 변경하게 되는데요 가끔 이 안에 값을 다 날려버리는 일들이 종종 있습니다 안의 기본 값을 참고할 수 있도록 공유드릴게요 enp0s3, ens33 등의 값을 ifcfg-eth0 로 바꾸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해 주세요 https://coconuts.tistory.com/321 CentOS7, 8 enp0s3, ens3 eth0 으로 바꾸는 방법 / ifcfg-eth0 생성 방법 CentOS7이나 CentOS8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ifcf..
리눅스 vim 편집기 문자열 치환하는 법, vim 글자 바꾸는 방법 리눅스를 사용하시다 보면 vi, vim 을 많이 사용하실텐데요 리눅스 cli 모드에서 설정 같은 것들을 바꿀 때도 vi 편집기는 필수입니다 vim을 사용하시다가 가끔 특정 단어나 글자를 다른 글자로 치환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오늘은 리눅스 vim 글자를 치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s/[원본단어]/[바꿀단어]/[옵션] 뒤에 옵션들은 여러 예시를 보여드리며 설명드리겠습니다 첫 단어만 바꾸기 :%s/name/buffett i: 대소문자 구분없이 치환하기 :%s/name/buffett/i g : 전역 치환, 파일 전체에서 단어를 찾아 치환하기 :%s/name/buffett/g c : 바꿀 것인지 ..
Centos Ubuntu 등 리눅스에서 접속중인 사용자 찾기 세션 끊기 who 또는 w 명령어를 입력해 보시면 세션별로 어떤 사용자가 어떤 IP를 가지고 세션을 사용하고 있는지가 나옵니다 보통 ssh 연결 putty 연결 사용자들이 나오게 됩니다 who와 w 명령어 두개 다르게 나옵니다 w 명령어가 보시다시피 더 자세하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예시로 ssh 연결을 하나 해놓고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보시면 pts/0 과 pts/1 사용자가 연결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ts/0 은 제가 명령어를 친 terminal 창이고 옆에 띄워놓은 putty 가 pts/1로 되어 있습니다 이제 연결되어 있는 이 세션을 명령어를 이용해 종료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 ps -ef |grep ssh 위 명령어를 입..
리눅스 시스템 로그 설명 pacct 사용자가 로그인한 후부터 로그아웃할 때까지 입력한 명령과 프로세스 시작 시간, 작동된 tty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 binary 파일로 되어 있으며 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lastcomm" 명령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활성화를 해주어야합니다 리눅스 # accton /var/account/pacct | 유닉스 # /usr/lib/acct/accton /var/adm/pacct lastlog 사용자별로 가장 마지막에 로그인한 시간과 접속 IP, tty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 가장 최근에 성공한 로그인 파일을 담고 있는 로그파일, binary 파일로 되어있으며 "lastlog", "finger" 명령 사용 리눅스 /v..
윈도우와 리눅스 간 파일 전송하기 / scp를 이용해 파일전송하기 윈도우랑 리눅스를 사용하시다 보면 서로간의 파일 전송이 필요하실 때가 있어요 그럴 때 프로그램을 설치할 시간이 없다! 하실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scp 기능을 소개해 드릴게요 SCP는 Secure Copy의 약자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원격지에 파일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SSH와 동일한 22번 포트를 사용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도 뛰어나며 디렉토리 전송도 간편한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어요 기본적인 명령어의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 전송 scp 파일 계정@서버주소:목적경로 디렉토리 보내기 scp -r 디렉토리 계정@서버주소:목적경로 예시 $ scp user@127.0.0.1:/home/us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