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lookup 을 이용해서 도메인 네임을 얻거나 ip주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CentOS6에서 CentOS7, 8 로 버전업을 하신 분은 nslookup을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nslooup을 사용하려고 하면 "No such file or directory" 라고 뜹니다 "Command not found" 랑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는데요 nslookup을 사용할 수 있게 패키지를 설치 해줘야 합니다 "bind-utils" 라는 패키지를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 yum -y install bind-utils 라고 명령어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 nslooup > naver.com > kakao.com 이렇게 하시면 해당 도메인의 ip가 나오게 됩니다 요즘은 다 암호화가 되어..
안녕하세요 CentOS 6.* 버전이 곧 EOS 되면서 CentOS 7 이나 8으로 갈아타시는 분이 있으실 텐데요 버전업을 하자마자 네트워크 설정을 하려는데 ifconfig를 치자마자 command not found가 뜰거고 yum install ifconfig를 해도 그런 패키지는 존재하지 않다고 뜰거예요 ifconfig command not found ifconfig 를 가지고 있는 패키지는 'net-tools' 예요 # yum -y install net-tools 설치해 줍시다 이렇게 net-tools를 설치하고 다시 ifconfig를 해주시면 ip주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안녕하세요 오늘은 Linux Kernel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리눅스 커널(kernel)이란? 하드웨어 제어 및 파일 자원 등의 관리를 하는 os의 가장 핵심 부분입니다 CentOS나 Ubuntu 등의 배포판이 리눅스의 커널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을 확인하는 명령어1 # uname -a 리눅스 커널을 확인하는 명령어2 # cat /etc/issue or issue* 리눅스 커널을 확인하는 명령어3 # cat /proc/version 위 세가지 방법은 출력되는 정보와 가져오는 장소의 차이가 크고 확인하고 싶었던 리눅스 커널 버전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필요하신거나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파일명, 디렉토리명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v move의 약자,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이름(파일명, 디렉토리명)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파일을 보시면 test파일을 만들어놓았습니다 이 파일명을 변경시킬건데요 $mv test test1 이렇게 해주시면 파일명이 test에서 test1로 변경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로 궁금하신 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사용하시다 보면 vi, vim 편집 할일이 많은데요 파일 내용이 많다 보면 수정할 곳을 찾기가 힘들어 질 때가 있는데요. 파일안에서 문자열을 검색해서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 / or ? 으로 문자열 탐색 현재 커서 위치에서 아래방향으로 문자열 검색 esc 버튼으로 커서로 바꿔주시고 "/" 를 누르고 원하시는 문자열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현재 커서 위치에서 윗방향으로 문자역 검색(역방향 탐색) esc 버튼으로 커서로 바꿔주시고 "?" 를 누르고 원하시는 문자열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 문자열를 검색(계속 탐색)을 하려면 소문자 "n" 을 누르면 되고 이전 문자열를 검색(계속 탐색 - 역방향)을 하려면 대문자 "N"을 누르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버이전을 하거나 여러 작업을 하실 때 서버의 시리얼 넘버를 확인해야 할 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리눅스 서버의 시리얼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ㅎㅎ dmidecode 가 설치 되어있지 않으시다면 #yum install dmidecode 위 명령어로 먼저 dmidecode를 설치하고 시작해주세요!😫 #dmidecode | grep Serial Number | head -1 #dmidecode -s system-serial-number #dmidecode -s system-serial-number | tail -1 위 명령어로 한줄만 뽑아 보실수도 있어요 감사합니다🥱 윈도우 시리얼넘버 확인하는 방법 coconuts.tistory.com/135 윈도우 시리얼 번호 확인하는 방법(서버..
개요 ㅇ 호스트에 장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통신 상태를 보여줌 - 연결 상태 (ESTABLISHED, LISTENING, TIME_WAIT, SYN_SENT) ☞ TCP 상태, TCP 연결설정 참조 - 프로토콜 (TCP, UDP 등) - 연결에 사용된 IP 주소, 포트번호 (로컬 및 상대방) - 통계 등 네트워크의 문제를 찾아내고 성능 측정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유닉스 계열, 리눅스, 윈도우, 맥os 에서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한 명령어이므로 알아두면 좋습니다 사용 방법 netstat [옵션] [| grep 포트 번호 or 서비스 명] Options -l (listen) : 연결 가능한 상태 -n (number port) : 포트 넘버 -t (tcp) : tcp -..